
[ 포트 번호 찾는 법 ]

<실행 중인 포트 확인하는 법, 프로세스 종료하는 법>
PID 번호 확인법
PID 강제 종료 - taskkill
왜 강제 종료가 필요한지?
소켓 서버나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메인이 종료되면 같이 종료되어야 하는데
가끔 버그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는 종료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계속 실행되고 있음!)
그럼 ui에서 애를 끄지 못하고, 제어판에서도 끄지 못한다.
이게 바로 포트 충돌.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해당 포트를 점유 중)
(포트 8000번으로 돌고 있는 서버라면 [ 8000 port already in use ] 라는 에러가 뜬다.)
때문에 작업 관리자 > 서비스 탭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찾아 죽여야한다.[ 마리아DB로 예시 ]
3306번은 MariaDB의 서버 소켓 포트 번호. 기본적으로 3306번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애초에 설치할 때부터 3306번으로 통신한다는걸 알아야 한다!!
그래야 3306 already in use 라고 떴을 때, 버그가 발생한 프로세스가 마리아DB인걸 파악하고,
중지가 됐는데 계속 돌고 있네? > cmd에서 확인, 종료(taskkill)할 수 있다.죽은 프로세스 실행시키기 (2가지 방법)
[ 방법 1 ] (+netstat -ano)
- Command Prompt 실행

지금은 MariaDB를 살릴 것임. Command Prompt 실행
- mariadb의 데몬파일 실행 (bin폴더 접속)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하려면 2진 데이터로 컴파일되어야 한다. (=2진 데이터로 바꿔야해서)
이러한 실행 파일은 주로 "bin" (또는 "binary") 폴더에 모여 있다.
"bin" 폴더는 실행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이렇게 끝에 d가 붙어있다 = 데몬파일이다
데몬 파일을 실행하면 액세스를 허용하겠습니까?
윈도우의 방화벽 때문에 이렇게 나옴. (방화벽은 모든 포트번호를 막아놓으니까)
허용을 해주자
그러면 이상한 cmd창이 뜰건데, 이거.. 방법1을 쓸 때는 이거 끄면 안된다
실행을 했는데....?
중지됨?? 정상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netstat -ano

해당 키워드를 사용하면 실행되고 있을 때, 포트번호 3306이 나온다.
그럼 실행되고 있는 것.
이렇게 작업 관리자 - 서비스랑 실제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가 안맞을 수 있다.
그때, netstat -ano를 써서 확인해보자![ 방법 2 ] - 간편!
PID로 악성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다
Share article



